이집트 상형문자 (유니코드 영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상형문자(유니코드 영역)는 유니코드에 포함된 이집트 상형문자 블록을 설명한다. 이집트 상형문자는 유니코드 버전 5.2에 U+13000부터 U+1342E까지 1,071개의 문자가 처음 추가되었고, 이후 버전 15.0에서 U+1342F에 1개의 문자가 추가되었다. 1997년 마이클 에버슨의 제안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논의와 수정을 거쳐 유니코드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니코드 영역 - 딩뱃
딩뱃은 장식 문자, 강조 표시, 비텍스트 상징을 포함하는 문자 집합으로, 유니코드 표준의 딩뱃 블록과 장식 딩뱃 블록을 통해 코드 포인트를 제공하며, 장식적 요소 외에도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담을 수 있다. - 유니코드 영역 - 한중일 호환용 한자
한중일 호환용 한자는 유니코드에서 기존 문자 코드와의 호환성을 위해 추가된 한자 블록으로, 다양한 문자 집합의 한자들이 추가되면서 중복 및 정의 오류, CJK 통합 한자와의 호환 문제 등 기술적 고려 사항이 존재한다.
이집트 상형문자 (유니코드 영역) | |
---|---|
명칭 | |
블록 이름 | 이집트 상형 문자 |
범위 시작 | 13000 |
범위 끝 | 1342F |
스크립트 | 이집트 상형문자(신성 문자) |
일반 정보 | |
버전 | "5.2": 1071 |
버전 15.0 | 1 |
비고 | "유니코드 문자 데이터베이스: 유니코드 표준" "유니코드 표준의 열거된 버전: 유니코드 표준" |
2. 역사
wikitable
버전 | 최종 코드 영역 | 문자수 | 문서 |
---|---|---|---|
5.2 | U+13000..1342E | 1,071 | https://www.unicode.org/L2/L1997/97266-n1636.pdf L2/97-266, http://std.dkuug.dk/jtc1/sc2/wg2/docs/n1636/n1636.htm N1636, https://www.unicode.org/L2/L2007/07097-n3237-egyptian.pdf L2/07-097, https://www.unicode.org/wg2/docs/n3237.pdf N3237 외 다수 |
15.0 | U+1342F | 1 | https://www.unicode.org/L2/L2021/21208-egyptian-ctrl.pdf L2/21-208 외 다수 |
```
이집트 상형문자는 유니코드에 포함되기 위해 여러 과정을 거쳤다. 1997년 마이클 에버슨(Michael Everson)은 유니코드 평면 1에 기본 이집트 상형문자를 인코딩하는 제안을 했다. 이후 볼프강 솅켈(Wolfgang Schenkel)의 의견과 칼 마틴 번즈(Carl-Martin Bunz)의 역사적 스크립트에 대한 추가 논평이 있었다. 2002년에는 에릭 호르눙(Erik Hornung), 린 그린(Lyn Green), 다니엘 스넬(Daniel Snell), 수잔 홀리스(Susan Hollis), 자넷 존슨(Janet Johnson), 페데리코 로치(Federico Rocchi), 존 베인스(John Baines) 등 여러 학자들이 이집트 상형문자 인코딩을 지지하는 서한을 제출했다.
2005년, 리처드 쿡(Richard Cook), 마이클 에버슨, 릭 맥고완(Rick McGowan), 로버트 리치먼드(Robert Richmond)는 UCS 평면 1에 이집트 상형문자를 인코딩하는 수정 제안서를 제출했다. 2007년에는 올라 엘 아귀지(Ola El Aguizy)가 N3237 이집트 상형문자 제안을 지지하는 서한을 제출했다.
최종적으로 이집트 상형문자는 유니코드 버전 5.2에서 U+13000..1342E 범위에 1,071개 문자가 처음 추가되었다. 이후 버전 15.0에서 U+1342F에 1개 문자가 추가되었다.
2007년 4월 10일 마이클 에버슨 등은 이집트 상형문자를 SMP(Supplementary Multilingual Plane)의 UCS에 인코딩하기 위한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이 제안서는 같은 해 9월 4일 오라 엘 아귀지(Ola El Aguizy)의 지지 서한을 받았다.
이후에도 유니코드 기술 위원회(UTC) 회의에서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쳤으며, 2021년에는 글리프 변경 제안이 있었다. 2022년에는 이집트 상형문자의 회전을 위한 변형 시퀀스 등록 제안이 있었다.
2. 1. 초기 역사
이집트 상형문자는 유니코드에 포함되기 위해 여러 과정을 거쳤다. 1997년 마이클 에버슨(Michael Everson)은 유니코드 평면 1에 기본 이집트 상형문자를 인코딩하는 제안을 했다. 이후 볼프강 솅켈(Wolfgang Schenkel)의 의견과 칼 마틴 번즈(Carl-Martin Bunz)의 역사적 스크립트에 대한 추가 논평이 있었다. 2002년에는 에릭 호르눙(Erik Hornung), 린 그린(Lyn Green), 다니엘 스넬(Daniel Snell), 수잔 홀리스(Susan Hollis), 자넷 존슨(Janet Johnson), 페데리코 로치(Federico Rocchi), 존 베인스(John Baines) 등 여러 학자들이 이집트 상형문자 인코딩을 지지하는 서한을 제출했다. 2005년, 리처드 쿡(Richard Cook), 마이클 에버슨, 릭 맥고완(Rick McGowan), 로버트 리치먼드(Robert Richmond)는 UCS 평면 1에 이집트 상형문자를 인코딩하는 수정 제안서를 제출했다. 2007년에는 올라 엘 아귀지(Ola El Aguizy)가 N3237 이집트 상형문자 제안을 지지하는 서한을 제출했다.2. 2. 발전 과정
이집트 상형문자는 유니코드 버전 5.2에서 U+13000..1342E 범위에 1,071개 문자가 처음 추가되었다. 이후 버전 15.0에서 U+1342F에 1개 문자가 추가되었다.이집트 상형문자 유니코드 블록 추가는 1997년 마이클 에버슨(Michael Everson)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초기 제안은 기본 이집트 상형문자를 U+13000..1342E에 배치하는 것이었다. 이후 여러 차례 회의와 논의를 거쳐 2007년에 최종안이 확정되었다.
2007년 4월 10일 마이클 에버슨 등은 이집트 상형문자를 SMP(Supplementary Multilingual Plane)의 UCS에 인코딩하기 위한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이 제안서는 같은 해 9월 4일 오라 엘 아귀지(Ola El Aguizy)의 지지 서한을 받았다.
이후에도 유니코드 기술 위원회(UTC) 회의에서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쳤으며, 2021년에는 글리프 변경 제안이 있었다. 또한, 2022년에는 이집트 상형문자의 회전을 위한 변형 시퀀스 등록 제안이 있었다.
```
버전 | 최종 코드 영역 | 문자수 | 문서 |
---|---|---|---|
5.2 | U+13000..1342E | 1,071 | [https://www.unicode.org/L2/L1997/97266-n1636.pdf L2/97-266], [http://std.dkuug.dk/jtc1/sc2/wg2/docs/n1636/n1636.htm N1636], [https://www.unicode.org/L2/L2007/07097-n3237-egyptian.pdf L2/07-097], [https://www.unicode.org/wg2/docs/n3237.pdf N3237] 외 다수 |
15.0 | U+1342F | 1 | [https://www.unicode.org/L2/L2021/21208-egyptian-ctrl.pdf L2/21-208] 외 다수 |
2. 3. 쇠퇴와 해독
이집트 상형문자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로마 제국 시대에 걸쳐 이집트에서 사용되었으나, 점차 그 사용이 쇠퇴하였다. 4세기경에는 이집트 상형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이 극소수만 남게 되었고, 상형문자에 대한 신비주의적인 해석이 널리 퍼지기도 했다.이후 1799년, 나폴레옹 원정대가 이집트에서 로제타석을 발견하면서 상형문자 해독의 결정적인 전기가 마련되었다. 로제타석에는 동일한 내용이 이집트 상형문자, 이집트 민중 문자, 그리스 문자로 기록되어 있었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어를 알고 있던 학자들은 이를 통해 상형문자를 해독할 수 있었다.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은 로제타석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상형문자가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를 혼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그는 이집트 민중 문자와 콥트어 연구를 통해 상형문자의 음가를 파악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3. 유니코드
wikitext
유니코드 5.2 버전에서 이집트 상형문자가 추가되었다. 이집트 상형문자 블록 (U+13000–U+1342F)에는 이집트 상형문자 1,071자가 할당되어 있다.
3. 1. 유니코드 블록
유니코드 5.2 버전에서 이집트 상형문자가 추가되었다. 이집트 상형문자 블록 (U+13000–U+1342F)에는 이집트 상형문자 1,071자가 할당되어 있다.3. 2. 유니코드 등재 과정
이집트 상형문자는 1997년 마이클 에버슨(Michael Everson)의 제안으로 유니코드 등재 논의가 시작되었다. 1998년 쿠퍼티노에서 열린 UTC와 L2 합동 회의록에서 이집트 상형문자 등재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회의와 논의를 거쳐, 2002년에는 에릭 호르눙(Erik Hornung), 존 베인스(John Baines) 등 여러 학자들이 이집트 상형문자 등재를 지지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2005년, 리처드 쿡(Richard Cook), 마이클 에버슨 등이 UCS 평면 1에 이집트 상형문자를 등재하는 수정 제안서를 제출했다. 2006년 옥스퍼드에서 열린 이집트 학자 회의에서는 유니코드 등재에 대한 진전된 논의가 이루어졌다. 2007년 마이클 에버슨 등은 UCS의 SMP(Supplementary Multilingual Plane)에 이집트 상형문자를 등재하는 제안서를 제출했다. 같은 해, 올라 엘 아귀지(Ola El Aguizy)는 이 제안을 지지하는 서한을 보냈다.
2007년 10월, L2/07-322 문서에 따라 이집트 상형문자 레퍼토리가 수정되어 승인되었다. 이후 2015년에는 마크 데이비스(Mark Davis)가 상형문자를 이모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2021년에는 유니코드 14.0 버전에 맞춰 이집트 상형문자 글리프 변경 및 주석 제안이 있었다.
2022년에는 유니코드에 등록될 이집트 상형문자 회전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4. 문자 유형
4. 1. 한정사
4. 2. 음가 문자
4. 3. 숫자
5. 관련 주제
5. 1. 음역
5. 2. 가디너 문자표
5. 3. 마뉘엘 드 코다주 (Manuel de Codage)
6. 관련 인물
7.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23-07-26
[2]
웹사이트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23-07-26
[3]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5.0
https://www.unicode.[...]
Unicode, Inc
2022-09
[4]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Standardized Variation Sequences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5]
웹인용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23-07-26
[6]
웹인용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23-07-26
[7]
웹인용
Unicode Character Database: Standardized Variation Sequences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